미기록종 적갈색따오기, 제주도에서 최초 발견
미기록종 적갈색따오기, 제주도에서 최초 발견
  • 이상은
  • 승인 2018.04.30 09:5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서식 기록이 없는 적갈색따오기 3마리 발견
동남아, 호주 등에서 활동하는 황새목 저어새과에 속한 종

[엔비뉴스] 이상은 기자 =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지난 4월 20일에 제주도 한경면에서 지금까지 국내에서 서식 기록이 없던 ‘적갈색따오기(국내명 가칭, Plegadis falcinellus)’ 3마리를 최초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적갈색따오기는 황새목 저어새과에 속하는 종으로 몸길이는 55~63cm이며 동남아시아, 남아시아, 유럽 동남부, 아프리카, 호주, 북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 지역에 분포한다. 적갈색따오기는 전 세계에 분포하는 따오기류 중 분포권이 가장 넓은 종이며, 분포권이 확산되는 추세로 알려져 있어 향후 우리나라도 분포권이 확산될 지 여부에 대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이번 적갈색따오기의 발견으로 우리나라는 따오기(Nipponia nippon), 검은머리흰따오기(Threskiornis melanocephalus)와 함께 총 3종의 따오기류가 서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번에 관찰한 개체는 동남아시아 등 본래 분포권을 벗어나 우연히 제주도 일대까지 오게 된 길 잃은 새로 추정된다. 그동안 국립생물자원관은 2007년부터 제주 마라도, 인천 소청도, 군산 어청도 등의 섬 지역을 통과하는 철새들을 연구해왔다.
이를 통해 2010년 마라도에서 붉은가슴딱새, 2016년 소청도에서 갈색지빠귀, 회색머리노랑딱새, 옹진군에서 검은뿔찌르레기 등을 비롯해 이번 적갈색따오기까지 총 5종의 미기록종 조류를 확인했다.
유정선 국립생물자원관 동물자원과장은 “조류와 같은 척추동물이 미기록종으로 발견되는 일은 매우 드문 사례”라면서, “아직 국내에 종수가 많지 않은 조류에서 미기록종 발견은 국가 생물다양성 확보를 비롯해 학술적으로도 큰 의의가 있다”라고 말했다. 

 

 

미기록종 적갈색따오기 제주도에서 최초 발견.
미기록종 적갈색따오기 제주도에서 최초 발견.

 

 

환경공업신문/월간환경21/엔비뉴스

구독문의 및 신청: 02-491-5253

기사제보: 02-436-8000

envinews@hanmail.net


  • 서울시 중랑구 상봉동 136-50 동일빌딩 409호
  • 대표전화 : 02-436-8000, 491-5253
  • 팩스 : 02-496-5588, 432-8004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광재
  • 명칭 : 환경공업신문,엔비뉴스(envinews)
  • 제호 : 환경공업신문,엔비뉴스,환경뉴스,envinews,월간환경21
  • 등록번호 : 서울 다 06504
  • 등록일 : 1989-01-24
  • 발행·편집인 : 이광재
  • 환경공업신문,엔비뉴스,환경뉴스,envinews,월간환경21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3 환경공업신문,엔비뉴스,환경뉴스,envinews,월간환경21. All rights reserved. mail to webmaster@envinews.co.kr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