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보은 속리산국립공원의 상징인 소나무 숲이 병해충 감염이나 영양부족 등으로 허약해진 것으로 조사됐다.
16일 보은군에 따르면 이 지역 우량 소나무숲 보존을 위해 작년 11월 (사)한국수목보호연구회에 의뢰해 내속리면 사내리 일대 산 30㏊의 소나무 생육실태를 조사한 결과 토양 속 영양분이 부족하고 병해충 방제 및 밀도조절 등이 안돼 건강한 우량목이 적었다.
60그루의 표본을 조사한 결과 27.4~34.2%의 소나무 잎에서 솔잎혹파리 벌레집이 확인돼 확산을 막기 위한 방제가 시급한 상태였고 흡즙성 해충인 진딧물과 깍지벌레류도 관찰됐다.
토양의 영양도 유효인산이 1~20㎏/㎎로 기준치(20~30㎏/㎎)를 크게 밑돌았고 총질소도 0.08~0.31%로 기준치(0.4~1.0%)에 못미쳤다.
조사를 맡은 여운홍 박사는 "나무 성장에 필요한 질소와 체질을 강화하는 유효인산이 부족해 이 지역 소나무 체질이 전반적으로 허약한 상태"라며 "복합비료 등으로 영양분을 공급하고 석회를 뿌려 토양 산성화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조사팀은 "이 지역 소나무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 생존경쟁이 심해지고 있다"며 "말라죽거나 큰 나무에 치어 생육이 부진한 나무를 제거해 생육공간을 넓혀야 한다"고 주문했다.
군은 이 같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인 소나무 숲 육성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군은 정이품송(천연기념물 103호), 정부인송(〃 352호), 황금소나무 등 귀한 소나무가 있는 속리산을 소나무 명소로 만들기 위해 내속리면 상판리 말고갯길 주변 2만2천여㎡에 소나무를 테마로한 '솔향공원'을 조성 중이다.
16일 보은군에 따르면 이 지역 우량 소나무숲 보존을 위해 작년 11월 (사)한국수목보호연구회에 의뢰해 내속리면 사내리 일대 산 30㏊의 소나무 생육실태를 조사한 결과 토양 속 영양분이 부족하고 병해충 방제 및 밀도조절 등이 안돼 건강한 우량목이 적었다.
60그루의 표본을 조사한 결과 27.4~34.2%의 소나무 잎에서 솔잎혹파리 벌레집이 확인돼 확산을 막기 위한 방제가 시급한 상태였고 흡즙성 해충인 진딧물과 깍지벌레류도 관찰됐다.
토양의 영양도 유효인산이 1~20㎏/㎎로 기준치(20~30㎏/㎎)를 크게 밑돌았고 총질소도 0.08~0.31%로 기준치(0.4~1.0%)에 못미쳤다.
조사를 맡은 여운홍 박사는 "나무 성장에 필요한 질소와 체질을 강화하는 유효인산이 부족해 이 지역 소나무 체질이 전반적으로 허약한 상태"라며 "복합비료 등으로 영양분을 공급하고 석회를 뿌려 토양 산성화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조사팀은 "이 지역 소나무 밀도가 지나치게 높아 생존경쟁이 심해지고 있다"며 "말라죽거나 큰 나무에 치어 생육이 부진한 나무를 제거해 생육공간을 넓혀야 한다"고 주문했다.
군은 이 같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종합적인 소나무 숲 육성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군은 정이품송(천연기념물 103호), 정부인송(〃 352호), 황금소나무 등 귀한 소나무가 있는 속리산을 소나무 명소로 만들기 위해 내속리면 상판리 말고갯길 주변 2만2천여㎡에 소나무를 테마로한 '솔향공원'을 조성 중이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제공 : 연합뉴스


저작권자 © 환경공업신문,엔비뉴스,환경뉴스,envinews,월간환경21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