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맑은서울 대책' 수립..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오는 2009년부터 공해물질을 내뿜는 노후 경유차량의 수도권 운행이 제한되는 등 서울시의 대기질 개선 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된다.
서울시는 선진국 도시에 비해 2~3배 높은 공기오염도를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맑은서울 2010 특별대책'을 수립, 올해부터 4년간 1조2천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관련 정책을 추진한다고 22일 밝혔다.
서울시가 마련한 대책에는 ▲'공해 경유차량' 수도권 운행제한 ▲공공건물 신.재생에너지 활용 ▲태양광발전소 건립 ▲신.재생에너지 민간투자 유도 등이 포함됐다.
시는 서울시내 대기오염의 주범인 노후.대형 경유차량은 저공해조치를 취하도록 의무화하고, 이를 지키지 않을 경우 2009년부터 수도권 내 운행을 제한할 방침이다.
1단계로 7년 이상 운행한 3.5t 이상 경유차량 3만여대에 대해선 오는 7월부터 내년까지 산화촉매장치(DOC), 매연여과장치(DPF) 등을 부착하거나 조기 폐차토록 유도할 계획이다.
2009년부터는 7년 이상 운행한 2.5~3.5t 경유차량으로 대상을 확대, 2010년까지 이들 차량 12만여대의 저공해화를 마칠 계획이다.
저공해 의무화 조치를 지키지 않는 경유차량에 대해선 2009년부터 서울 및 인천 전역과 광주, 안성, 연천, 포천, 가평, 양평, 여주를 제외한 수도권 전역에서 운행을 제한할 계획이다.
또 현재는 저감장치 부착 대상에서 제외돼 있는 레미콘, 덤프트럭 등 1만3천여대의 건설장비도 2009년부터는 DPF 부착을 의무화할 방침이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이를 위해 지난해 12월 김문수 경기지사, 안상수 인천시장과 함께 `수도권 광역현안에 대한 공동 합의문'을 채택하고, 교통, 환경 등에 대한 정책공조에 합의한 바 있다.
이와 함께 서울시는 현재 0.6% 수준으로 선진국에 비해 크게 낮은 태양열, 지열, 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 이용률을 2010년까지 2%대로 끌어올려 대기오염물질 발생량을 대폭 줄일 계획이다.
신.증축되는 공공건축물의 경우 공사비의 5% 이상을 신.재생에너지 설치에 투자하도록 의무화하고, 서울시 신청사도 에너지 자립형 건물로 신축할 계획이다.
도시환경정비 및 주거환경개선사업의 경우 신.재생에너지 보급 기여도에 따라 용적률 인센티브를 차등 부여해 민간의 투자를 끌어낼 방침이다.
서울시는 또 월드컵공원에는 태양광.풍력시설 등 '신.재생에너지 랜드마크'를 세워 홍보, 교육, 연구 등에 활용하는 한편 시민단체와 공동으로 '공익 태양광발전소'를 지어 발전소 수익금으로 에너지 빈곤층을 지원할 계획이다.
이밖에 시는 ▲2010년까지 264개 전 지하철역사 스크린도어 설치 ▲사업장 배출허용총량제 시행 ▲먼지발생 공사장 관리 강화 등 생활 주변의 대기환경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현재 60㎍/㎥인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를 2010년에는 46㎍/㎥로 낮춰 덴마크 코펜하겐(48㎍/㎥), 캐나다 몬트리올(41㎍/㎥) 등과 비슷한 수준의 대기질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기사제공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