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씨에프텍은 환경과 에너지분야의 엔지니어링과 컨설팅을 전문으로 하며, 특히 대기오염방지기술에 대한 오랜 연구개발과 실적을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 개발된 동시탈황탈질 및 집진장치(SDEPTM, SDBAGTM)기술을 중국에 보급하는데 주력하고 있으며, 신개념의 유해산성가스 처리 및 VOC 처리장치 등을 개발중에 있다.
Q 동시탈황탈질 및 집진장치 에 대해 소개해 주세요.
일명 SDEPTM 및 SDBAGTM이라는 제품명으로 출시돼 있으며, SDEPTM는 반건식반응(Semi Dry reaction)과 전기집진방식이 일체로 된 장치이고, SDBAGTM은 반건식반응과 여과집진방식이 일체화된 장치명입니다.
기본적인 원리는 배가스중의 황성분(SOx)은 반건식 반응기내에서 소석회(Ca(OH)₂)와 반응을 하고, 질소산화물(NOx)은 산화제(ClO₂, NaClO₂)와 산화 및 환원반응을 통해 제거되며, 최종적인 반응부산물과 먼지는 각각 전기집진 혹은 여과집진방식으로 처리되는데 이러한 모든 기능이 하나의 장치 내에서 이뤄지는 것입니다.
Q 개발의 동기와 배경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배가스 오염물질의 처리기술이 보다 효율적인 기술을 동시처리 및 융합화 하는 방향으로 가야 하는데 착안하고, 가장 잘 알려진 반건식반응흡수(SDA)와 보편화된 전기집진 및 여과집진방식을 융합해 일체형장치로 구성하면 여러 가지 이점이 있다는 확신을 가지고 개발을 했으며, 잘 알려진 탈황/탈질 및 집진기술을 일체화함으로써 신기술에 대한 불신을 해소함과 동시에 현장에서 신설 혹은 보완시설로 쉽게 보급될 수 있는 중소규모의 틈새시장을 목표로 개발했습니다.
SDEPTM는 기본적으로 에너지절약과 환경보전이라는 두 개의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기술이어야 된다는 취지로, 산업자원부 에너지관리공단의 온실가스저감기술개발(구 청정에너지기술개발)과제를 수행해 개발에 성공한 기술이다.
특히, 중유연소보일러에서 저가의 고유황(최대 황함유 4%, 1600ppm) 연료를 사용하는 대신 배출가스 처리장치를 통해 환경기준을 만족시킴으로써 연료비를 약 5~10%까지 절감할 수 있어, 고유가에 어려워하는 산업체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해 개발된 기술입니다.
한편, SDBAGTM은 소각로와 석탄연소보일러, 소결/소성로 등의 다양한 산업체에 적용할 수 있으며 특히, 탈황 및 탈진 성능이 더욱 우수한 장치로 개발됐습니다.

Q SDEP와 SDBAG의 특징과 장점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두기술과 제품은 기본적으로 유사한 처리기술이나, SDEPTM는 중유연소보일러 등과 같은 점착성 연소 검뎅이 등이 배출되거나 고온(250~350℃) 배가스를 직접 처리하는 곳에 주로 사용되며, SDBAGTM은 그 외의 모든 영역에 적용될 수 있으며 SOx나 HCl 등의 처리 성능이 더 우수하며, 다이옥신의 동시처리도 가능한 특징이 있습니다.
두 기술 및 제품의 장점은 기본적으로 여러 단계의 배가스 처리공정이 하나의 장치(공정)으로 대체가 가능하다는 데 있습니다.
따라서, 설치비, 설치공간, 운전관리 등의 측면에서 많은 장점이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설치비는 기존공정방식에 대비해 약 30~40% 정도 저렴하며, 설치공간은 기존 대비 약 1/3 정도이고, 하나의 장치에서 모든 공정이 처리됨으로써 운전관리가 더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Q 시장전망과 향후 전략에 대해 말씀해 주세요.
국내의 탈황/탈질 및 집진동시처리시장의 규모는 아직 정확한 정량적인 분석자료가 없으나, 기존의 개별 탈황, 탈질 및 집진시장규모를 비교할 때 연간 약 2,000억원대의 시장으로 판단되며, 그 중 대기업 및 중견기업이 약 80% 이상의 시장을 점유하고 중소기업 등이 약 400억원대의 시장을 나눌 것으로 전망합니다.
본사의 시장점유율 목표를 약 10%로 가정하면, 국내에서 연간 40억원 규모의 매출을 예상합니다.
장기적으로 국내의 환경시장성장률은 정체 또는 완급성장으로 예상되고, 대신 중국, 베트남등 신흥개발 동남아국가들의 시장성장이 큰 폭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며, 중국의 대기오염규제치는 아직 국내보다 낮지만 환경에 대한 인식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처리기술의 수준도 선진방식을 선호해 성능대가격이 우수한 기술을 자체 개발하거나 해외에서 도입되고 있습니다.
특히, 2008년은 베이징 올림픽이 있고, 2010년도에는 상해엑스포가 예정돼 있어 대기오염방지시장은 계속적으로 확대될 것입니다.
이에 대비해 본사는 지난해 초부터 집중적으로 중국시장을 공략해 왔으며, 최근 5개 지역성의 주요 기업과 사업제휴 또는 영업합작을 성사시켰으며, 새해에는 산동성 제남의 중국북방철도차량공작창의 석탄보일러에 SDBAG제품을 설치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산서성의 석탄코크스제조공장 30여곳에 대한 일괄 영업을 수행할 예정이며, 복건성의 한 상장기업과 기술제휴를 검토중입니다.
또한, 환경부 차세대핵심 국제공동연구를 통해 중국환경과학연구원과 공동으로 중국 현지에 적합한 보완기술을 추가로 개발해 보급을 체계적으로 할 예정입니다. 산업화로 부상되고 있는 베트남은 새해의 주요 해외시장개발처가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주)씨에프텍 정동규대표이사의 전공은 항공우주공학이며 세부전공은 전산유체역학(CFD)이라는 분야다. 국방과학연구소, 현대우주항공연구소 등을 거쳐 2007년 10월 외환위기 직전에 창업을 한 정통 기계계열의 연구원 출신으로, 창업초기에 국산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면서 엔지니어링 용역 및 자문으로 확장하다 2001년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과 공동환경기술 연구를 같이하면서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해 본격적인 기술을 개발했고, 정부연구과제 개발을 매년 3~4건씩 수행하면서 환경과 에너지분야에 많은 연구실적과 개발제품을 시장에 내놓았다.
국내 시장규모의 제한성과 제조산업의 정체성등이 오히려 해외시장을 개척해야 된다는 동기를 부여했고, 우수한 기술만이 시장에서 생존할 것이라는 신념을 가지면서 신기술개발과 영업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환경과 에너지는 상호 보완적이며, 인류의 현재와 미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속적인 분야로서, 사업성을 떠나 산업적으로 우수한 기술을 보급해 사회와 인류의 공영에 일조하는 일을 할 수 있다는 데 자부심을 가지고 있다.
<프로필>
*61년생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항공우주공학 박사
*국방과학연구소 연구원(1986.3 ~ 1989.2)
*현대우주항공연구소 연구원(2005 ~ 2006)
*(주)씨에프텍 창업 / 대표이사(1997.10 ~ 현재)
*한국항공대 겸임교수(2001.3 ~ 2004.2)
*조선대학교 초빙교수(2004.3 ~ 현재)
*시흥환경기술개발센터 자문위원(2002 ~ 2004)
*국회환경정책포럼 자문위원(2007.12~ 현재)
*KAIST 테크노경영대학원 최고벤쳐경영자(AVM) 과정 4기 수료(2000.3 ~ 7)
<회사 연혁>
*97 10 (주)씨에프텍 설립
*99 02 벤처기업 인증
*00 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창업보육센터 입주
*01 11 INNO BIZ기업 선정
*02 01 병력특례지정업체
*03 03 대기오염방지시설업 등록 (경인지방환경청 제697호청)
*04 03 공장등록
*07 08 본사 이전(문래동 에이스하이테크시티빌딩 분양)
<저작권자 환경공업신문>
www.envinews.co.kr 문의 : 491-52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