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학오염물질측정망 설치목적
❍ 목적
- VOC 배출원 파악 및 관리
- 오존ㆍVOC등 유해물질 노출로부터 지역 주민 보호
- 광화학 프로세스 특성 규명 등을 통한 오존 대책 강구
❍ 유형별 분류
- Ⅰ형 측정소 : 배경농도지역
- Ⅱ형 측정소 : 오존전구물질 배출량이 최대인 지역
- Ⅲ형 측정소 : 최고 오존 농도 발생가능 지점
- Ⅳ형 측정소 : 오존 및 전구물질이 영향을 미치는 대상 밖
도식 및 부산권역 5개 측정소 현황

❍『2000년대 대기오염측정망 기본계획』에 따라 도시지역의 지표면오존오염현상을 규명하기 위한 일환으로 수도권 및 부산권에 광화학오염물질측정망을 설치·운영
❍ 현재 수도권 및 부산권역에 4개 유형별 13개 측정소를 구축하여 정상가동 중에 있음
❍ 부산권역에 설치·운영 중인 5개소의 광화학오염물질측정망으로부터 매시간 연속 측정된 오존전구물질 측정자료를 기준으로장비의 운영 결과 및 정도관리 현황을 평가하여 자료의 신뢰성을 재고하고자 함
지표오존의 생성기작

▢ 연구방법
대상항목: VOCs 55개 항목
대상기간: 2010.1월~12월 매시간연속측정자료 이용
분석장비: Auto GC On-line 측정시스템
55개 분석항목

❍ 대상항목
❍ 측정시스템의 정확도 평가결과

※ 정확도평가는 EPA기준에 따라 대표물질인 프로판과 벤젠을 평가함.
측정시스템의 성능평가 결과
※ 성능시험 및 평가항목에 대한 국내 지침등 EPA에서 작성한 기술지침서(TAD)에 근거하여 평가함
광화학오염물질측정망의 월별 평균농도 분포특성


❍ 광화학오염물질측정망 물질병 오존생성기여율의 평가

광화학오염물질측정망의 월별 평균농도 분포특성

결론 및 고찰
❍ 부산권 광화학측정망 온라인측정시스템에 대한 정확도 평가결과-미국 EPA 기준 만족
❍부산권 광화학측정망의 온라인측정시스템에 대한 년간점검 성능평가 결과 직선성, 검출한계, 정밀도, 분리능 등 - 미국 EPA의 기술지침서 성능평가기준 만족
❍각 측정소별 VOCs 측정자료의 월별 농도분포 특성 평가결과 당감동/대연동 측정소의 경우 다른 측정소에 비해 대체로 농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측정소별로는 대체로 11월~1월에 각 성분별로 높은 농도분포 양상을 나타냄
❍각 측정소별 VOCs 측정자료의 시간대별 농도분포 특성 평가결과 당감동 측정소의 톨루엔을 제외하고는 주로 출퇴근 시간대에 농도가 증가하는 전형적인 양상을 나타냄
❍각 측정소별 VOCs 측정자료의 주요 검출물질을 살펴보면, 주로 ethane, propane, ethylene, n-butane, isobutane, n-pentane, toluene 성분이 검출됨
❍오존전구물질별 오존생성 기여율을 산출한 결과, 태종대와 대연동측정소는 m,p-자일렌이 가장 높은 기여율를 보였고, 당감동/장전동/정관면측정소는 톨루엔이 가장높음 오존생성기여도를 나타냄
기사 무단 전재 금함.
환경공업신문/월간환경21
구독문의 및 신청: 02-491-5253
기사제보: 02-436-8000